언약 2019. 2. 17. 09:37

선택과 예정에서의 구속 언약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구속 언약은 영원 전에 삼위 하나님 사이에서 맺어진 영원한 언약이다.


성부는 중보자로서의 성자 안에서 한 백성을 선택하셔서, 성령을 통하여 구원을 얻을 만한 믿음을 주신다.


구속 언약은 영원 전에 이미 인류의 타락을 고려한다.


구속 언약은 성자의 자기를 내어주심과 성령의 중생 사역과 성부의 영원한 계획의 집행으로 이어진다.


성도는 창세 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을 받은 자이다.(엡1:4)


로벗 팔머슨과 같이 언약을 제한된 범위에서 좁게 이해할 경우 구속 언약을 생각 할 수가 없다.


성도는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께 주신 자라는 관점에서, 그리스도의 구원론적 중보는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이라는 근거를 요구한다.


하나님의 작정과 언약을 구분하지 않는 유니테리언은, 성부 하나님께서 성자와 성령의 사역과 관계없이 구원과 유기를 주관적으로 결정한다는 오류를 범하고있다.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이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에 이루어지는 반면 구속언약은 삼위 사이에 이루어진다.


그리스도의 구속은 모든 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창세 전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 안에서 택함 받은 자들에 제한된 것이다.


성도의 구속은 창세 전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 안에서의 선택과 예정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성도는 구속언약으로 안에서 하나님의 선택을 받았으며, 그리스도는 구속 언약 안에서 택한 자들의 머리되시며, 성도는 구속 언약을 근거로 그리스도의 보증과 성령의 선물로 구원에 참여되는 것이다.


존 오웬이 관여하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수정한 회중교회 수정본인 사보이 선언에서도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을 근거로한 택한 자의 선택하심에 대하여 기술하고있다.


성도는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되었음은 물론, 언약의 보증으로서의 아들의 약속 안에서 인침을 받은 것이다.


이 모든 선택과 구속의 역사의 근원에는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이 자리잡고 있으며, 구속 언약은 모든 교리의 근원에 자리잡고있는 것이다.


모든 언약의 근본이 되는 구속 언약에 대하여 John Fesko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있다.


(다음 글은  J. V. Fesko의 The Trinity and the Covenant of Redemption의 1장의 일부를 번역한 것이다)


=================


협약에 대한 일반적인 표현에 있어서, 신학자들은 언약의 보증으로서의 아들의 직책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또한 교회의 머리로서 그의 선택적 역할을 말해주고있는 것이다.

In common formulations of the pactum, theologians address the Son’s appointment as covenant surety, which also functions as His election as head of the church.


성부께서는 선택이라는 강령 안에서 택할 자를 선택하셨고 이들을 그리스도께 연합시키셨다.

The Father chose the elect and united them to Christ in the decree of election.


이러한 협약의 예들은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의 회중 교회판인 사보이 선언에서도 볼 수있다.

Examples of this arrangement appear, for example, in the Savoy Declaration (1657), the Congregational version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이 선언에서는 하나님께서 특정 수의 개인들을 영생에 이르도록 예정하셨으며, 그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되었으며(3.3, 5), 그리스도께서 택함받은 자를 구속하심(3.6)에 대하여 진술하고있다.

The Declaration states that God predestinated a certain number of individuals unto everlasting life, and they were ‘chosen in Christ’(III.iii, v). Christ redeems the elect (III.vi).


신앙고백의 나머지 부분을 읽지 않는다면, 비록 어떤 이들은 자신이, 하나님께서 선택받은 자를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하셔서 이러한 결론에 도달한다는 특별한 진술을, 무시한다고 할지라도, 예정이 막연한 선택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Read in isolation from the rest of the confession, a person might conclude that predestination is an abstract choice, although he would have to ignore the specific statement that God chose the elect ‘in Christ ’to reach this conclus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보이 선언은 계속 말하기를:

Nevertheless, the Declaration goes on to state: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영원한 목적 안에서 기뻐하심으로, 아버지와 아들 간에 맺어진 언약을 따라서,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자가 되시며; 선지자, 제사장, 그리고 왕, 자신의 교회의 머리이시며 구속자이시며, 모든 것들의 상속자이시며, 세상의 심판자이시며; 모든 영원으로부터 사람으로하여금 자신의 씨가 되게하셨으며, 때가 되면 그에 의해서 구속되고, 불리워지고, 의롭게되고, 성화되고, 그리고 영화롭게 되도록, 자신의 독생자이신 주 예수를 선택하시고, 정하셨다.

It pleased God, in his eternal purpose, to choose and ordain the Lord Jesus his only begotten Son, according to a covenant made between them both, to be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the Prophet, Priest, and King, the Head and Saviour of his Church, the Heir of all things and Judge of the world; unto whom he did from all eternity give a people to be his seed, and to be by him in time redeemed, called, justified, sanctified, and glorified. (VIII.i) 6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아들을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자로 섬기도록 선택하셨으며, 또한 택자를 그리스도께 주셨는데, 이는 구속 언약의 맥락 안에서 발생한 것이다.

God both chooses His Son to serve as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and He gives the elect unto Christ, and this occurs within the context of the covenant of redemption.


신학자들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선택을 말하면서, 예상될 수 있는 것과같이, 예정이나 택정, 택함이라는 용어들을 사용한다.

Theologians spoke of election in Christ and employed the nomenclature of predestination, choosing, or election, as might be expected.


그러나 그들은 선택과 구속 언약 사이의 밀접한 관계들을 나타내기 위해서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기도한다.

But they also employed other terms to denote the close associations between election and the covenant of redemption.


이들은 언약적 연합이나 강령적 연합과 같은 방식을 사용해서 언약 안에서의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말한다.

They spoke of union with Christ within the pactum by means of terms such as federal union or decretal union.


예를 들어 헤르만 비치우스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여러가지 다른 면들의 차이를 구분한다: 강령의 연합이나 영원한 동의라는 연합에 의해, 성부가 그리스도를 택자의 언약적 머리로 지명하셨으며, 참되고 진실된 연합은  거듭남과 믿음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Herman Witsius (1636-1708), for example, distinguishes between several different aspects of union with Christ: the union of the decree (in aeterno Dei decreto), the union of eternal consent (unione confoederationis aeternae), by which the Father constitutes Christ as federal head of the elect, and the true and real union (vera et reali unione), which occurs through regeneration and faith.


찰스 핫지는 자신이 쓴 에베소서 1장의 주석에서 이와 비슷한 구분들을 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있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들이 거룩함과 영생으로 선택된 것은, 그들의 머리이며 대표자로서, 그들을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하신 일로 인한 것이다.

Charles Hodge (1797-1878) offers similar distinctions; in his commentary on Ephesians 1 he writes: It was in Christ, as their head and representative, they were chosen to holiness and eternal life, and, therefore, in virtue of what he was to do in their behalf.


그리스도와의 언약적 연합은 모든 실제적 연합의 선행 사건이며, 그 근원이 된다.

There is a federal union with Christ which is antecedent to all actual union, and is the source of it.


하나님께서는 구속 언약 안에서 그의 아들에게 백성을 주셨다.

God gave a people to his Son in the covenant of redemption


이들은 언약 안에 속하여 있으며, 언약 안에 속하여 있었기 때문에,--달리 표현하자면, 그들이 자신들의 머리이며 대표자로서의 그리스도 안에 있기 때문에,-- 때가 되어 성령과, 다른 모든 구속의 유익들을 선물로 받은 것이다.

Those included in that covenant, and because they are included in it,—in other words, because they are in Christ as their head and representative,—receive in time the gift of the Holy Spirit, and all other benefits of redemption.


하나님께서는 택함받은 자를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하셨으며, 또한 그리스도는 그들의 머리와 대표자가 되시며,- 그리스도는 그들의 언약적 대표이시며, 이로 인해서 그들은 구속 언약 안에서 그리스도와 언약적 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God chooses the elect ‘in Christ,’who is also their head and representative –He is their federal head, and hence they are in federal union with Christ in the covenant of redemption.


이러한 구분들의 핵심적인 요점은, 신학자들이 예정을 다른 여러가지 교리들과 연계시켜 생각하고있지만, 특별히 기독론과 관련시키고있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ultimate point of these distinctions was to recognize that theologians considered predestination alongside of several other doctrines, but especially in conjunction with christology.


그들은 이와같은 다양한 교리들을 구속 언약을 통하여 하나로 묶고있다.

They united these different doctrines through the covenant of redemption.


posted by Wonho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