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가교리 2018. 8. 31. 11:51

전가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What does the verb to impute mean?


기본적인 정의는 무엇을 다른 이에게 양도하는 것이다.

A basic definition is, to assign something to another.


거래 계정에 있어서, 누군가가 신용이나 빚을 다른 계정에 전가하거나 양도하는 것이다.

In accounting, someone can impute or assign a credit or debit to an account.


사회적 관계성에 있어서는, 누군가가 (자신의) 잘못된 동기를 다른 이의 행동에 (책임을) 전가하거나 부여하는 것이다.

In social interaction, someone can impute or assign false motives to someone’s actions.


신학적 의미에 있어서는, 역사적으로 볼 때 전가라는 것은 하나님께서 죄를 어떻게 양도하였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왔다.

In theological terms, to impute has historically been a term employed to explain how God assigns guilt,


예를 들어서, 레위기 17장 4절에서는, 하나님께서 성막에서 요구되는 희생을 드리지 않는 사람에게 피흘리는 죄를 전가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or example. In Leviticus 17:4, we read of the Lord imputing bloodguilt to the man who does not bring the required sacrifice to the tabernacle.


예전의 성경 번역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이 의의 상태, 즉 그들이 율법의 요구를 충족시켰다고 인정하거나 신뢰를 하셨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이 그에게 의롭도록 전가되었다’(롬 4:22; 킹제임스버전)

In older translations of the Bible, we read of God assigning or crediting a person with the status of righteous, that is, they have fulfilled the requirements of the law: ‘And therefore it was imputed to him for righteousness’ (Rom. 4:22; kjv).


(출처; Death in Adam, Life in Christ, J. V. Fesko, p18)

'전가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존 페스코가 말하는 전가교리  (0) 2019.10.07
삼중 전가란 무엇인가?  (0) 2018.08.31
posted by Wonho Kim
:
언약 2018. 1. 4. 15:51

데이비드 딕슨의 구속 언약


김원호(dent4834@hanmail.net)



창세 전 삼위 하나님의 구속 언약에 대해서는 종교 개혁 이후 16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인 관심을 가지게된다.


데이비드 딕슨David Dickson (1583-1662)의 논술들은 구속 언약에 대한 관심의 시발점이 된다.


이보다 앞서 16세기 초에 알미니우스Jacob Arminius (1560-1609)는 성부와 성자 사이의 언약에 대하여 명확히 하고 있다.


도르트총회를 중심으로 알미니우스의 후예들인 항론파들의 주장들에 대하여 반박을 하였던 데이비드 딕슨David Dickson (1583-1662)은 항론파들이 알미니우스가 진술한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의 구속 언약에 대하여 익숙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를 계기로 딕슨은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님 사이의 구속 언약에 대하여 깊은 연구를 하면서 창세 전 구속 언약에 대하여 정리를 하였으며, 여기서 정립한 구속 언약에 관한 그의 논문들은 이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비롯한 여러 고백서들에서 체계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했다.


비록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는 구속 언약에 대한 교리를 명백히 하지는 않았지만, 스코틀랜드 교회는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가 구속 언약과 전적으로 부합되고있음을 믿고있었다.


비슷한 방식으로 개혁주의 회중교회Reformed Congregationalists (1658)와 일부 침례교 신학자들도 개선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채용하면서 여기에 구속 언약을 추가하였다.


17세기 후반에는 이 교리가 개혁신학에 보편적으로 자리메김을 하였으며, 몇몇 개혁주의 신앙고백서들에서는 공식적으로 성문화되었다.


다음은 존 페스코J. V. Fesko의 The Trinity and the Covenant of Redemption 8쪽 이후를 요약 정리 한 것이다.


===================


데이비드 딕슨David Dickson (1583-1662)은 1638년 스코틀랜드 교회의 총회General Assemblyof the Scottish Kirk에서 구속 언약에 관한 교리에 대하여 처음으로 명확하고 상세한 진술을 하게된다.


그는 항론파의 주된 실패를 규명하는데 있어서 이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의 구속 언약Covenant of redemption betwixt God and Christ에 대하여 익숙하지 않다는 사실을 진술한다.


딕슨은 하나님과 그리스도 사이의 구속 언약the covenant of redemption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구원의 언약covenant of salvation (or grace)과 다르다는 것을 설명한다.


딕슨이 구속 언약에 대하여 언급하는 이유는,구속 언약이 은혜 언약의 붕괴에 대한 방파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하여 아무도 (은혜 언약을) 침범할 수 없게끔 보장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딕슨은 연설을 마치면서 구속 언약이 어떻게 은혜 언약을 보장하는지에 대하여 5가지 주제로 설명한다.


첫번째로, 하나님과 그리스도사이의 언약으로서 이는 하나님께서 타락한 인간을 구원하시는 모든 것의 근거가 된다.

First, there is a covenant between God and Christ, which is the ground of all that God does to redeem fallen man.


두 번째로는, 구속 언약에 있는 구원받을 이들의 시간 뿐만이 아니라 그들의 이름과 숫자에 관해서도 계획되어있다.

Second, in the covenant of redemption the elect were designed in terms of their name and number as well as the time in which they would be saved.


특정인들에 대한 선택은 구속 언약 안에서 결정되어있다.

The election of certain individuals was determined in the covenant of redemption.


세번째로, 구속의 값은 그리스도께서 죽음에 잡히신바holden captive of death된 것으로 확립되었다.

Third, the price of redemption was established, how Christ would be ‘holden captive of death, &tc.’


네번째로, 중재자는 자신의 성공이 보장되셨으며, 택함받은 이는 그분께 드려졌으며, 그들의 구원은 그분의 손에 놓여진 것이다.

Fourth, the mediator was ensured of His success and the elect were given to Him, and their salvation was placed in His hand.


다섯번째로, 구속 언약의 열매로서 복음을 통하여 베풀어주신 하나님의 지혜를 고려해 볼 때, 아무도 하나님의 은혜가 부어지는 것을 취하거나 구원의 보장을 탈취할 수는 없다.

Fifth, no one would truly take God’s grace for granted or be robbed of the assurance of salvation given God’s wise dispensation of the gospel, the fruit of the covenant of redemption.

posted by Wonho Kim
:
언약 2018. 1. 3. 23:32

하나님이신 아들이 어떻게 아버지의 뜻에 복종할 수 있는가?


김원호(dent4834@hanmail.net)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은 삼위 하나님의 창세전 구속 언약을 근거로 하고있다.


구속 언약의 성취는 그리스도의 순종을 전제로한다.


그러면 성부 하나님과 동등하신 성자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어떻게 성부 하나님의 뜻에 복종하실 수 있었는지에 관하여 궁금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보에티우스는 존재론적으로 평등하시면서도 종으로서의 아들의 상태를, 하나님의 형태로서의 아들과 종의 형태로서의 아들의 이중적으로 표현으로 구분하는 어거스틴의 도움을 받는다


이에 대하여 존 페스코J. V. Fesko는 “삼위 하나님과 구속 언약The Trinity and the Covenant of Redemption”의 일부(p6)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있다.


=============

어떻게 완전한 하나님who was fully God이신 아들이 아버지의 뜻에 복종하면서 순종submit to and obey His Father’s will할 수 있는가?


보에티우스Gisbert Voetius (1589-1676)와 같은 17세기 신학자들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하여 곰곰히 생각하면서 고대로부터from antiquity 답을 찾았었다.


보에티우스는 그리스도의 공로에 관한 자신의 논술disputation on Christ’s merit에서 아들의 복종의 속성nature of the Son’s submission을 설명하기 위해서 어거스틴Augustine (354-430)의 도움을 받는다.


보에티우스는, 그리스도께서 실제로는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명령을 받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크리소스톰Chrysostom (ca. 349-407)의 의견들을 거부한다.


크리소스톰Chrysostom에 의하면, 아들이 아버지의 명령에 순종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어떠한 암시들도 단순히 자신의 아버지에게 동의한다는 것이지 복종한다는 뜻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신에 보에티우스는 어거스틴의 통찰력과 “아버지는 나보다 크시다”(요 14:28)는 그리스도의 언급에 대한 그의 견해들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어거스틴은 아버지와 아들의 존재론적 평등ontological equality of Father and Son을 강조하면서 동시에 종으로서의 아들의 상태the Son’s status as a servant도 강조하였다.


어거스틴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있어서 빌립보서 2장 8~9절에서 바울이 하나님의 형태로서의 아들과 종의 형태로서의 아들의 이중적으로 표현을 사용하고있음에 근거를 두고있다.


비록 어거스틴은 이러한 의미들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아들의 인격과 사역에서the Son’s person and work의 존재론적인 면과 경륜적인 면ontological and economic aspects을 구분하였었다.



보에티우스는 이러한 통찰력을 끌어내어 어떻게 그리스도께서 중재자와 보증mediator and surety으로서 율법에 복종하셨는지, 그리고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언약 안에서 세워진 역할을 하셨는지를 설명하였다.

posted by Wonho Kim
: